2023년 중위소득 100% 기준

기준 중위소득이란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소득을 순서대로 정렬했을 때, 중간 정도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중위소득이 중요한 이유는 각종 복지 혜택을 받는 저소득층 기준이 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2023년 중위소득 100%를 기준으로 우리 가족의 소득이 40% 이하인 경우에만 의료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중위소득 100% 기준
중위소득 100% 기준

중위소득 100%

2023년 중위소득 100%가 얼마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표는 정부가 발표한 중위소득 공식 자료입니다.

가족 수 2023년 중위소득
1명 2,077,892원
2명 3,456,155원
3명 4,434,816원
4명 5,400,964원
5명 6,330,688원
6명 7,227,981원
7명 8,107,515원

※ 중위소득은 가구 단위로 결정됩니다. 그래서 가구원 수(가족 수)가 많을수록 중위소득이 큽니다.

가족 수가 8명 이상인 경우에는, 1명이 추가될 때마다 879,534원을 더하면 2023년 중위소득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족 수가 8명인 가구의 2023년 중위소득은 8,987,049원(=8,107,515원+879,534원)입니다.

중위소득 비율 확인하기

우리가 직접 계산기를 들고 중위소득의 몇 퍼센트인지 계산할 필요는 없습니다. 정부가 운영하는 ‘복지로’에서 자동으로 계산되기 때문입니다.

중위소득 비율을 계산할 수 있는 '복지로' 화면
중위소득 비율을 계산할 수 있는 ‘복지로’ 화면

복지로에서 가구원 수 4명, 근로소득 200만원만 입력하고 모의계산을 실행해 보았습니다.

중위소득 비율을 계산하기 위해 입력한 정보(예시)
중위소득 비율을 계산하기 위해 입력한 정보(예시)

아래와 같이 자동으로 중위소득의 몇 퍼센트(%)인지 나옵니다.

중위소득을 포함한 수급대상자 조건 확인(예시)
중위소득을 포함한 수급대상자 조건 확인(예시)

또한 위 화면을 보면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중에서 어떤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복지로 사이트에서 ‘복지서비스 > 모의계산 > 국민기초 생활보장’ 메뉴를 선택하면 중위소득 자동 계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