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 기준을 몰라서 복지 혜택을 놓치고 있지는 않으신가요? 그렇다면 지금 정부가 공개한 기준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023년 저소득층 기준을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저소득층 기준
저소득층 기준은 매년 달라집니다. 왜냐하면 정부 지원을 받으려면 ‘기준 중위소득‘보다 낮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생계급여 수급자가 되려면,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의 30% 이하여야 합니다.
저소득층 기준은 매년 정부가 발표하는 중위소득의 비율에 따라 결정됩니다.
저소득층 지원
저소득층 지원 대상은 대표적으로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기초생활수급자이고, 두 번째는 차상위계층입니다.
기초생활수급자
기초생활수급자로 선정되면 아래와 같은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생계급여
- 주거급여
- 의료급여
- 교육급여
이 중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지원금은 생계급여입니다.
생계급여액은 다음과 같이 결정됩니다.
- 생계급여 수급자 선정 기준(중위소득의 30%) – 소득인정액
차상위계층
차상위계층은 기초생활수급자보다 생활이 더 나은 계층입니다. 법 규정에 따르면 기초생활수급자가 아니면서 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의 50% 이하인 사람을 의미합니다.
차상위계층 혜택은 자활 근로, 청년내일저축계좌, 통신·전기·도시가스 요금 할인, 장학금 등 매우 다양해서 이 글에 다 담기 어렵습니다.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 혜택을 확인하려면 정부가 만든 복지로 사이트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